맨위로가기

로마 지하철 A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마 지하철 A선은 로마의 지하철 노선 중 하나로, 1980년 오타비아노에서 치네치타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이후 여러 차례 연장을 거쳐 2000년 바티스티니까지 노선이 완성되었다. 현재는 S/300 열차가 주로 운행되며, 역 안내 방송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2006년에는 충돌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으며, 바티스티니 역에서 토레베치아 역까지 연장 계획이 논의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마 지하철 노선 - 로마 지하철 B선
    로마 지하철 B선은 로마 최초의 지하철 노선으로, 테르미니 역과 EUR 지구를 잇기 위해 1930년대에 계획되어 2차 세계 대전으로 중단되었다가 1955년 개통되었고, 이후 연장 및 지선 건설을 통해 현재 레비비아 역에서 라우렌티나 역, 볼로냐 역에서 이오니오역까지 운행된다.
  • 로마 지하철 노선 - 로마 지하철 C선
    로마 지하철 C선은 로마 동부 교통망 개선을 위해 건설 중인 지하철 노선으로, 자동 운전 시스템을 갖추고 A선, B선과 환승이 가능하지만, 고대 유적 발견으로 인한 공사 지연, 막대한 건설 비용, 문화재 훼손 논란, 안전 문제 등의 과제를 안고 있다.
  • 1980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서울 지하철 2호선
    서울 지하철 2호선은 1977년에 착공하여 1984년 환상선이 완성되었으며, 신정지선과 성수지선을 포함하여 순환 운행하고 서울의 주요 대중교통 수단으로 이용된다.
  • 1980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북회선
    북회선은 타이완 이란과 화롄 사이의 산악 지형을 지나는 철도 노선으로, 일제강점기 시대에 시작되었으나 1970년대에 재개되어 1979년 개통되었고, 현재는 타이완 동부 지역의 주요 교통 수단으로 기능하고 있다.
  • 로마 지하철 A선 - 테르미니역 (로마 지하철)
    테르미니역은 로마 지하철 A선과 B선의 환승역이자 철도 연결의 중심지이지만, 시설 노후화, 안전 문제와 대중문화 배경으로도 알려져 있다.
  • 로마 지하철 A선 - 누미디오 콰트라토역
    누미디오 콰트라토역은 로마 지하철 A선에 위치하며, 안전 감시 카메라, 매표소, 콘솔리 대로 및 투스콜라나 가와 같은 시설을 갖추고 있고, A선 다른 역보다 승강장 규모가 크며, 로마 지하철 미술 프로그램의 모자이크 예술 작품이 설치되어 있다.
로마 지하철 A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A선 로고
테르미니 역에 있는 CAF S/300 열차
노선 종류도시 철도
노선 상태운행 중
위치이탈리아, 로마
기점바티스티니 역 (북서쪽)
종점아나니나 역 (남동쪽)
역 수27개 역
일일 이용객450,000명
소유주ATAC
운영자ATAC
노선 특징지하
노선 길이18.425km
궤간1,435mm (표준궤)
전철화 방식가공 전차선
노선 색상
노선 정보 (이탈리아어)
이탈리아어 명칭Linea A

2. 역사

A선 노선도


1959년 로마의 두 번째 지하철 노선 건설이 승인되었다. 이 노선은 오스테리아 델 쿠라토에서 프라티 지역까지 도시 중심부를 가로지르며, 테르미니 역에서 1955년 개통된 기존 B선과 만나도록 계획되었다.[1]

1964년 투스콜라나 지역에서 공사가 시작되었지만, 여러 차례 지연과 어려움을 겪었다. 특히 개착식 공법의 굴착 공사는 로마 동남부 지역에 심각한 교통 혼란을 일으켰다. 공사가 잠시 중단되었다가 5년 뒤 터널 굴착기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재개되었는데, 이는 교통 문제 해결에는 도움이 되었지만 주변 건물에 진동 피해를 주기도 했다.

공사 과정에서 고고학적 발견도 잦았는데, 특히 레푸블리카 광장 주변에서 유적이 많이 발견되어 계획 수정이 불가피했다. 이때 발견된 유적들은 레푸블리카 역 내 보호 유리막 안에 전시되어 있다. 터널 공사 작업과 고고학적 발견은 페데리코 펠리니의 영화 «로마» (Roma)에도 묘사되었다.

1980년 아나니나에서 오타비아노까지 첫 구간이 운행을 시작하면서 'A선'이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다.[2] 동시에 기존의 테르미니-라우렌티나 노선은 'B선'으로 명명되었다. 1990년대 초에는 A선을 오타비아노 역에서 바티스티니까지 연장하는 공사가 시작되었고, 1999년2000년에 걸쳐 이 연장 구간이 개통되면서 현재의 노선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3]

2. 1. 개통 연혁

A선은 1980년에 개통되었다.

개통일구간
1980년 2월 16일오타비아노 - 치네치타
1980년 6월 11일치네치타 - 아나니나
1999년 5월 29일오타비아노 - 발레 아우렐리아
2000년 1월 1일발레 아우렐리아 - 바티스티니


3. 운행 차량

A선에서 처음 사용된 차량은 4량 편성으로 운행되던 MA100 계열 열차였으며, 이후 승객 수요 증가에 따라 6량 편성으로 증결되었다.

1990년대 후반에는 MA200 계열이 A선에서 운행을 시작했다. 이 차량은 로마 지하철에서 처음으로 3상 비동기 전동기와 전자식 구동 방식을 사용한 열차였으나, 기술적인 문제에 취약했다.

2005년 1월부터는 MA100 및 MA200 계열을 대체하기 위해 새로운 차량이 도입되기 시작했다. 이 차량은 스페인 회사 CAF에서 제작하고 로마 지하철 운영사인 ATAC가 MA300 계열로 명명한 S/300 계열 열차이다. S/300 계열은 냉방 설비를 갖추었으며, 기존의 MA100 및 MA200 계열은 로마-리도 철도로 이관되었다.

현재 A선에서 운용되는 차량의 대부분은 S/300 계열이다. 이 차량은 자동 안내 방송 기능을 처음으로 도입한 차량이기도 하다.

3. 1. 역 안내 방송

S/300 차량의 내부 모습. LED 화면의 화살표는 오타비아노 역에서 오른쪽 출입문이 열릴 것임을 알려준다.


S/300 열차 내부. LED 디스플레이의 화살표는 플라미니오-피아차 델 포폴로역에서 열차의 오른쪽 문이 열린다는 것을 나타낸다.


S/300 차량의 안내방송은 열차가 역을 출발할 때 다음 정차역의 이름과 도착 시 열릴 출입문의 방향을 미리 알려준다. 다음 역에 도착하면 다시 한번 역 이름과 열릴 출입문의 방향을 안내한다. 열차가 정차하여 문이 열릴 때는 여러 차례 경고음이 울리며, 문이 닫히기 전에는 더 높은 음의 차임벨이 울린다. 이 과정은 계속 반복된다.

예를 들어, 열차가 바르베리니-폰타나 디 트레비역에 정차하는 경우의 안내 방송은 다음과 같다.

먼저 열차가 스파냐역이나 레푸블리카역을 출발할 때에는 다음과 같은 안내 방송이 나온다.

Prossima Fermata: Barberini - Fontana di Trevi. Uscita lato destro.ita (번역: "다음 역: 바르베리니 - 트레비 분수. 오른쪽 출입문입니다.")

그리고 열차가 바르베리니-폰타나 디 트레비역에 도착하면 다음과 같은 안내 방송이 나온다.

Barberini - Fontana di Trevi. Uscita lato destro.ita (번역: "바르베리니 - 트레비 분수. 오른쪽 출입문입니다.")

4. 역 목록

wikitext

역명이탈리아어 표기
바티스티니역Battistini
코르넬리아역Cornelia-Cotral
발도 데리 우발디역Baldo degli Ubaldi
발레 아우렐리아역Valle Aurelia
치프로역Cipro
오타비아노역Ottaviano San Pietro Musei Vaticani
레판토역Lepanto
플라미니오역Flaminio Piazza del Popolo
스파냐역Spagna
바르베리니역Barberini Fontana di Trevi
레푸블리카역'Repubblica Teatro dellOpera''
테르미니역Termini-Cotral
비토리오 에마누엘레역Vittorio Emanuele
만초니역Manzoni Museo della Liberazione
산 조반니역S. Giovanni
레 디 로마역Re di Roma
폰테 룽고역Ponte Lungo
푸리오 카밀로역Furio Camillo
콜리 알바니역Colli Albani Parco Appia Antica
아르코 디 트라베르티노역Arco di Travertino
포르타 푸르바역Porta Furba Quadraro
누미디오 콰드라토역Numidio Quadrato
루치오 세스티오역Lucio Sesto
지울리오 아그리콜라역Giulio Agricola
수바우구스타역Subaugusta
치네치타역Cinecittà
아냐니나역Anagnina-Cotral


5. 사고

2006년 10월 17일, 열차 충돌 사고가 발생하여 1명이 사망하고 100명 이상이 부상을 입었다. 자세한 내용은 2006년 로마 지하철 충돌 사고 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

6. 연장 계획

A선을 현재 북쪽 종점인 바티스티니역에서 Torrevecchia|토레베키아it까지 북쪽으로 약 2km 연장하는 계획이 검토 중이다. 이 계획에는 2개의 역을 신설하는 내용이 포함된다.

참조

[1] 웹사이트 9th February 1955: the first Italian subway in Rome https://italian-trad[...]
[2] 웹사이트 Metropolitana di ROMA (Rome Metro) https://www.urbanrai[...]
[3] 웹사이트 ATAC - Our history https://www.atac.rom[...]
[4] 웹사이트 Met.Ro - Dati delle linee http://www.metroroma[...]
[5] 웹사이트 Metro A da domani iniziano i lavori tra Subaugusta ed Anagnina - Roma Marittima https://www.romamar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